목록spring boot 강의 따라하기/spring boot 첫걸음 (4)
개발자를 향해...
작년 여름 동아리에서 써머 프로젝트로 했던 플젝이 대상 수상을 하며 꽤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었다. 깃허브 링크를 함께 첨부한다. https://github.com/SOLUX-web-team/0942_server GitHub - SOLUX-web-team/0942_server: 0942 server 0942 server. Contribute to SOLUX-web-team/0942_serv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이번엔 그 프로젝트의 코드를 리팩토링해보려고한다. 서버에서 내가 맡았던 채팅 부분을 리팩토링하는것이 일차적 목표이다. 전에 내가 짰던 코드는 채팅을 단순히 http 통신으로 구현함으로서 매우 비효율적인 구조였다. ..
멘토라는 나에게 조금 과분한 이름으로 개발 동아리를 합격했을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프로젝트가 완성단계에 올랐다. spring을 이용해 직접 개발하는것이 거의 처음이었고 졸업프로젝트도 함께 하느라 정말 정신 없었던것 같다. 프로젝트 마무리에 앞서 내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어떤 코드를 작성했는지 백엔드 코드 위주로 기록해보려 한다. 1. AWS RD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백엔드 개발을 시작하고 제일 먼저 시작한 작업이다. 처음 구축한 이후 중간에 한번 바꾸느라 이제 어떤 단계를 거쳐야 데이터 베이스 생성이 가능한지 알지만 여전히 무슨 의미인지 모른다. 그래도 우선 내가 쓴 방법을 기록하면 다음과 같다. RDS 페이지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한다.스토리지는 적당히 할당한다. EC2에서 인스턴스 생성 및 보안 그..
이 글은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책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요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게 기본이라한다. 여기서는 단위 테스트를 사용한다. TDD와는 다른 개념인데 TDD는 다음과 같다. 테스트를 작성하고 작성한것이 실패하는것을 본다 테스트를 통과하는 수준의 코드 작성 코드의 행동을 바꾸지 않는 선에서 코드를 발전시킨다. 1번으로 가서 반복한다. 단위테스트Unit Test는 TDD에서 1번 단계를 작성하는 것이다. 단위 테스트로 코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문제점 발견 유닛 테스트의 목적은 프로그램의 각 부분을 고립 시켜서 각각의 부분이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즉, 프로그램을 작은 단위로 쪼개서 각 단위가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검사하고 이를 통해 문제 ..
이 글은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책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나의 개발 환경 개발 환경 - 운영체제: Mac os Big Sur - 개발 툴 : IntelliJ - 사용 플랫폼 : Spring boot MVP IntelliJ 에서 New project > Gradle > Java로 프로젝트를 설정하였습니다. 2. IntelliJ 환경 설정 프로젝트 명은 spring boot 첫걸음인 만큼 first_springboot 라고 지었다. 이번에는 끝까지 열심히 해야지! 다음으로 build.gradle 파일에서gradle로 생성한 프로젝트를 spring boot로 변경해본다. ext로 build.gradle 파일 내에서 사용하는 전역변수를 설정하였다. 여기서 설정한 springbo..